![[뉴스레터 2025년 3월 7일] 스태그플레이션 | ALLW ETF | ETF 시장 분석 | Ambrosia 스태그플레이션 투자 전략 | 올웨더 포트폴리오 | ALLW ETF | 방어적 자산 | 인플레이션 헤지 | 국제 ETF 강세](https://sp-ao.shortpixel.ai/client/to_webp,q_lossy,ret_img,w_1024,h_683/https://myambrosia.co.kr/wp-content/uploads/2025/02/pexels-photo-19856572-19856572-1024x683.jpg)
1. 개요
2025년 글로벌 금융 시장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과 무역 갈등의 영향으로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하락세를 보이는 반면, 국제 ETF 시장은 예상을 뛰어넘는 강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Bridgewater Associates)와 스테이트 스트리트 글로벌 어드바이저스(State Street Global Advisors)가 공동 출시한 SPDR Bridgewater All Weather ETF (ALLW) 는 다양한 시장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미국 증시 및 스태그플레이션 현황
2.1 스태그플레이션 개념 및 경제적 영향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 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제적 상황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 경제 성장 둔화
- 물가 상승 지속
- 기업 투자 및 소비 감소
최근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에 따르면:
- 개인소비지출(PCE) 보고서: 소비 지출 -0.2% 감소
- 인플레이션율: 2.6%로 여전히 연준 목표(2%)를 초과
- S&P 500 지수: 연초 대비 2% 하락
2.2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과 증시 반응
2025년 들어 미국 정부는 주요 교역국에 대한 고율 관세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 캐나다, 멕시코: 25% 관세 부과
- 중국: 20% 관세 부과
- 유럽연합(EU): 25% 관세 제안
이로 인해 기업 비용 증가 및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며, 미국 증시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S&P 500 지수 현황 보기
3. 국제 ETF 강세 이유 및 주요 종목
3.1 국제 ETF 상승 원인
반면, 무역 갈등의 주요 대상이 된 국제 시장에서는 ETF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iShares MSCI China ETF(MCHI)는 연초 대비 21% 상승했으며, Vanguard FTSE Europe ETF(VGK)도 14%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시장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밸류에이션과 각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보다 적은 무역 상대국: 캐나다, 멕시코, 유럽, 중국 등은 미국을 상대하지만, 미국은 다수 국가와 동시다발적인 무역 분쟁 중
- 각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 독일(€5000억 인프라 투자), 중국(재정 정책 확대)
- 저평가된 밸류에이션: 미국 증시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메리트
3.2 2025년 강세를 보이는 국제 ETF
특히 iShares MSCI China ETF (MCHI) 는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 영향으로 21% 상승하며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해당 ETF 상세 정보
4. 투자 전략
4.1 스태그플레이션 대비 방어적 ETF 포트폴리오
현재와 같은 경기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방어적 자산(Defensive Assets)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방어적 자산은 경기 침체 및 시장 변동성에 강한 자산으로, 과거 2008년 금융위기 및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필수 소비재(XLP), 헬스케어(XLV), 유틸리티(XLU) 섹터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인 바 있습니다.
✅ 방어적 섹터 ETF
- XLP (Consumer Staples Select Sector SPDR ETF) → +4.44%
- XLV (Health Care Select Sector SPDR ETF) → +7.72%
- XLU (Utilities Select Sector SPDR ETF) → +3.10%
✅ 원자재 및 인플레이션 헤지 ETF
- GLD (SPDR Gold Shares) → +11.12%
- SLV (iShares Silver Trust) → +10.14%
- DBA (Invesco DB Agriculture ETF) → -1.50% (향후 반등 기대)
✅ 단기 국채 및 저위험 자산
- VGSH (Vanguard Short-Term Treasury ETF) → +1.21%
- SGOV (iShares 0-3 Month Treasury Bond ETF) → +0.73%
4.2 올웨더(ALLW) ETF
SPDR Bridgewater All Weather ETF(ALLW) 출시 – 레이 달리오 전략 적용
State Street Global Advisors와 Bridgewater Associates에서 SPDR Bridgewater All Weather ETF(ALLW) 를 출시하였습니다. 이 ETF는 레이 달리오(Ray Dalio)의 올 웨더(All Weather) 전략을 기반으로 하며, 리스크 패리티(Risk Parity)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시장 변동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고자 하는 투자자분들을 위한 상품입니다.
ALLW ETF 개요
- 운용보수: 0.85% -일일 모델 포트폴리오
- 투자 대상: 주식, 채권, 원자재, 금 등 글로벌 자산군
- 전략: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 변화에 따른 자동 리밸런싱
- 목표: 다양한 시장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과 유지
ALLW의 장점과 한계
✅ 장점
- 시장 변동성 완화: 주식·채권·원자재를 균형 있게 배분하여 리스크를 줄입니다.
- 인플레이션 헤지: 금과 물가연동채권(TIPS)을 활용하여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을 완화합니다.
- 리테일 투자자 접근 가능: 기존의 올 웨더 전략이 기관 투자자 위주였다면, ALLW를 통해 개인 투자자분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한계
- 2022년처럼 주식·채권이 동반 하락하는 시기에는 분산 효과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 전통적인 60/40 포트폴리오 대비 구조가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 시장 변동성을 줄이면서 장기적인 안정성을 추구하시는 투자자분들
- 기존 포트폴리오(주식·채권)를 보완하고자 하시는 분들
- 인플레이션 헤지 및 글로벌 분산 투자를 고려하고 계시는 분들
5. 전망
- 미국 시장은 무역 전쟁과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인해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동성이 최소한 6개월에서 1년 이상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준(Fed)의 금리 정책과 무역 협상 결과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현재의 불확실성이 기업 투자 및 소비 심리에 미치는 영향도 장기적인 시장 흐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 국제 ETF는 밸류에이션 매력과 경기 부양책 덕분에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투자자들은 방어적 ETF 및 국제 ETF를 혼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현명한 전략이 될 것입니다.
⚠️ 본 포스팅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콘텐츠이며,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독자 여러분께 있습니다. 신중한 분석과 본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현명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