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암호화폐 시장 전망과 핵심 이슈 분석 | 비트코인 하락, 대규모 매수, 스테이블코인 IPO

2025 암호화폐 시장 전망 - 비트코인 하락과 고래 매수, 스테이블코인 IPO 분석

비트코인, $60,000 붕괴 전망 현실화되나?

“느리고 고통스러운 하락장이 시작됐다” – Lekker Capital 창립자 퀸 톰슨(Quinn Thompson)의 경고

2025 암호화폐 시장 전망에서 비트코인이 다시 5만 달러대(5 handle)로 하락할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제기됐다. 암호화폐 헤지펀드 Lekker Capital의 창립자 퀸 톰슨(Quinn Thompson)은 현재 시장이 2022년과 유사한 장기적 하락 사이클에 진입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번 하락이 기존과 달리 갑작스러운 폭락이 아닌, 천천히 진행되는 고통스러운 ‘슬로우 블리드(slow bleed)’ 형태가 될 것이라고 분석하며 투자자들의 심리적 소모가 더 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가격이 급락하지는 않지만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투자자들이 매번 “바닥이 왔는가”를 고민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시장 신뢰와 투자 심리를 더욱 악화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위험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는 단기 급락보다 더 위험한 점은, 투자자들이 계속해서 “바닥이 왔는가?”라고 혼란에 빠지는 장세라며, 하락세가 불확실성과 심리적 압박을 동반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에 작용하는 4가지 주요 역풍

  1. 정부 지출 삭감 (D.O.G.E.):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D.O.G.E. 부서는 5월까지 1조 달러 규모의 지출 삭감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지난 수년간 고용을 유지시켜온 정부 지출을 급격히 줄이는 조치로, 단기적으로 노동시장에 직접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2020년 팬데믹 대응으로 인해 미국 정부는 연간 6조 달러 이상의 재정지출을 실행했으며, 이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는 실업률 하락과 소비 증가로 이어졌다. 반면, 이번 삭감은 공공 부문 고용 둔화 및 저소득층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2. 이민 억제 정책: 트럼프 행정부는 불법 이민 단속 강화 및 대규모 추방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민 노동력 감소는 저임금 노동자의 공급 부족으로 이어지고, 이는 기업들의 인건비 상승 압박과 비용 부담을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2017~2019년 사이 미국의 불법 이민 억제 정책은 농업, 요식업 등 저임금 노동 비중이 높은 산업에서 급격한 인력 부족을 초래했다는 통계가 있다.
  3. 관세 불확실성: 트럼프 대통령은 각종 국가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연일 언급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행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중장기 투자 및 고용 결정에 있어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2018년 미중 무역전쟁 당시, 애플과 인텔은 핵심 부품 공급망 재편에 수개월을 소요했고, 이는 기술주 전반의 투자 지연으로 이어졌다.
  4. 연준의 금리 정책: 연방준비제도는 2024년 말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하했으나, 시장은 추가적인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물가 지표가 여전히 안정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금리 인하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며, 연내 25~75bp 수준의 추가 인하가 예상된다. 참고로, 2023년 미국 CPI는 연간 4.1%를 기록하며 목표치인 2%를 여전히 상회하고 있는 상황이다.

톰슨은 백악관, 재무부, 연준이 현재 일종의 공동 전략 하에 자산 가격을 의도적으로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인플레이션 억제, 부채 감소, 그리고 다음 경기순환 사이클을 위한 체질 개선의 일환일 수 있다. 그는 이런 기조가 2026년 중간선거 이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에게는 단기 수익보다 리스크 분산 및 현금 흐름 확보, 장기적 시나리오에 따른 자산 재조정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러한 흐름은 2025 암호화폐 시장 전망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이 될 수 있다.

마이클 세일러, 또 비트코인 대량 매수… 시장에 던지는 신호는?

Strategy社, 22,048 BTC 추가 매입… 총 보유량 52만 개 돌파

2025 암호화폐 시장 전망에서 주목할 만한 또 하나의 흐름은 민간 고래 투자자의 대규모 움직임이다. 비트코인 강세론자로 유명한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가 이끄는 Strategy(MSTR)가 다시 한 번 대규모 비트코인 매수를 단행했다. 이번에 추가 매수된 비트코인은 총 22,048개이며, 총 매입 금액은 약 19.2억 달러(한화 약 2조 6천억 원)에 달한다. 평균 매입 단가는 $86,969로, 현재 비트코인 시세 약 $82,000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번 매수로 Strategy의 총 비트코인 보유량은 528,185 BTC에 달하게 되었으며, 이는 암호화폐 시장 내에서 가장 큰 민간 보유량 중 하나로 꼽힌다. 회사의 누적 투자 금액은 약 356억 달러이며, 전체 평균 매입 단가는 $67,458이다. 현재 시장가 기준으로 이 보유 자산의 가치는 약 430억 달러로 평가된다.

자금 조달 방식

이번 매입은 기존 보유 현금이 아닌 보통주(Common Stock) 발행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 외에도 선호주(STRK, STRF) 유동화를 통해 자금을 확보했다. 이처럼 시장에서 자본 조달을 통해 지속적인 비트코인 확보 전략을 취하고 있는 세일러는 여전히 장기적인 상승을 확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조정을 받는 가운데, Strategy의 공격적인 매수는 시장 신뢰에 긍정적 시그널을 줄 수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주식 희석화 및 과도한 레버리지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제기된다.

이번 매입은 단기적인 트레이딩 목적이 아니라, 디지털 금으로서의 비트코인의 미래 가치에 대한 베팅으로 해석된다. 이 또한 2025 암호화폐 시장 전망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서클(Circle), JP모건·씨티와 함께 IPO 재시동…USDC의 제도권 진입 신호탄?

JP모건·씨티와 손잡고 4~5월 기업공개 추진

2025 암호화폐 시장 전망을 좌우할 또 하나의 흐름은 제도권 진입과 전통 금융과의 접목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서클(Circle Internet Financial)이 다시 IPO에 나선다. USDC 발행사로 잘 알려진 서클은 2025년 4월 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식 상장 서류를 제출할 계획이다. 주간사로는 JP모건 체이스씨티그룹이 참여한다.

이번 IPO를 통해 서클은 약 40억~5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실제 상장 시점은 이르면 6월 중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1년 시도한 SPAC 합병 상장이 무산된 이후 두 번째 상장 도전이다.

서클은 2021년 당시 SPAC 방식으로 빠른 상장을 시도했지만, 당시 SEC의 규제 강화와 2022년의 암호화폐 시장 붕괴로 인해 최종 철회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최근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규제 논의가 진전되고 있고,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지금이 오히려 더 유리한 상장 타이밍이라는 평가다.

USDC는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테더(USDT)에 이어 시가총액 2위 스테이블코인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서클은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인프라 서비스 확장도 추진 중이다. 대표적으로 기관 투자자들을 위한 API 기반 결제 서비스, 온체인 정산 시스템, 국제 송금 솔루션, 그리고 정부 및 은행을 위한 디지털 달러 유통 기반 인프라 등이다.

이번 상장은 단순한 기업공개를 넘어,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진입,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의 접목, 그리고 투명한 거버넌스 구조 확립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진입은, 디지털 자산이 정부 및 금융 규제 아래서 공식적인 결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USDC가 은행 계좌나 세금 납부에 활용되는 날이 머지않았다는 신호일 수 있다.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의 접목은, JP모건·씨티 같은 대형 금융 기관이 암호화폐 시장과 협력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양 산업 간 장벽이 무너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투명한 거버넌스 구조 확립은 기업이 상장사를 통해 재무 투명성과 책임 경영 체계를 갖추는 과정을 뜻하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신뢰와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화는 블록체인 산업 전반의 성숙도를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향후 서클이 상장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경우, 암호화폐 업계의 다른 주요 기업들도 상장에 나설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이번 관련 보도는 포춘(Fortune) 지에서 최초로 보도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원문 기사를 참고할 수 있다. 이는 2025 암호화폐 시장 전망에서 기업들의 제도권 진입 가능성을 상징하는 대표 사례로 평가된다.

2025 암호화폐 시장 전망 지표 분석 | CMC100, 공포 탐욕 지수, 도미넌스 지표 정리


1. CoinMarketCap 100 지수(CMC100): 시장 전반 성과의 척도

  • 현재 지수: $162.21 (24시간 +0.83%)
  • 어제: $161.32
  • 1주 전: $174.26
  • 1달 전: $172.71
  • 연간 고점: $234.54 (2024.12.18)
  • 연간 저점: $104.86 (2024.08.05)

기술 분석 요약:
CMC100 지수는 3월 중순 이후 하락 채널 내에서 움직이며 1개월 기준 -6% 이상의 조정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대형 자산군 전반에 걸친 수급 약화를 반영한 결과이며, 특히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중심으로 자금 이탈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2. CMC 공포 및 탐욕 지수 (Fear & Greed Index)

  • 현재 지수: 24 (공포)
  • 1주 전: 34
  • 1달 전: 20
  • 연간 고점: 88 (2024.11.21, 극도의 탐욕)
  • 연간 저점: 15 (2025.03.11, 극도의 공포)

기술 분석 요약:
현재 공포 지수는 극도의 공포 직전 수준으로, 투자자들의 심리가 크게 위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과거 유사 수치에서도 시장 반등이 일어난 바 있으나, 현재는 CMC100과 비트코인 기술 지표 모두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어 단기적인 저점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3. 알트코인 시즌 지수: 비트코인 시장 주도권 강화

  • 현재 지수: 17 (비트코인 시즌)
  • 1주 전: 16
  • 1달 전: 22
  • 연간 고점: 87 (2024.12.04)
  • 연간 저점: 13 (2025.03.12)

기술 분석 요약:
최근 90일 기준으로 상위 알트코인 대부분이 비트코인 대비 저조한 성과를 기록하면서 비트코인 중심의 장세가 강화되고 있는 양상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시장 불확실성이 클 때 자금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비트코인으로 쏠리는 전형적인 흐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알트코인 투자자들은 단기적으로 보수적인 전략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4. 비트코인 도미넌스: BTC 중심 자금 쏠림 현상 지속

  • 비트코인 점유율: 61.4% (+1.16%)
  • 이더리움: 8.2%
  • 기타 자산: 30.4%

기술 분석 요약: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현재 연간 최고 수준인 61.4%를 기록하며, 시장 내 BTC 집중 현상이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이는 리스크 자산에 대한 회피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시장 불안정성 심화와 함께 알트코인의 상대적 약세가 지속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연간 최저였던 51.9%에 비해 약 10% 상승한 수치이며, 도미넌스가 추가 상승할 경우 알트코인에 대한 조정 압력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5. 가상자산 전체 시가총액 및 거래량

  • 총 시가총액: $2.67조 (24시간 +0.21%)
  • 1주 전: $2.86조
  • 1달 전: $2.79조
  • 연간 고점: $3.72조 (2024.12.17)
  • 연간 저점: $1.9조 (2024.09.07)

기술 분석 요약:
시가총액은 연간 고점 대비 약 30% 감소한 수준이며, 현물 및 파생시장 모두에서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거래량 감소는 시장의 유동성이 축소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현재로서는 뚜렷한 반등 신호 없이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6. 2025년 4월 암호화폐 시장은 ‘불확실성과 신중함’의 시기

2025년 4월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비트코인 중심의 흐름이 강화되는 가운데, 투자자 심리는 여전히 위축된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알트코인 및 중소형 자산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시가총액 역시 감소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투자 팁:

  1. 비트코인 중심의 자산 재조정을 고려
  2. 알트코인 신규 진입은 신중하게 접근
  3. 공포 지수가 극단 구간에 진입할 경우, 장기적 관점에서 분할매수를 검토

⚠️ 본 포스팅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콘텐츠이며,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독자 여러분께 있습니다. 신중한 분석과 본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현명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