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클(Circle) IPO 추진과 테더(Tether)의 비트코인 대량 매수, 게임스탑(GameStop)의 디지털 자산 편입 등 암호화폐 제도권 진입 흐름을 심층 분석합니다. 스테이블코인과 비트코인 투자 전략의 변화를 한눈에 파악하세요.
![서클 IPO와 암호화폐 제도권 진입 가속화 | [2025년 4월 02일] | Ambrosia 서클IPO 와 제도권 진입을 상징하는 이미지](https://sp-ao.shortpixel.ai/client/to_webp,q_lossy,ret_img,w_1024,h_683/https://myambrosia.co.kr/wp-content/uploads/2025/04/g6554985a3756ca9cb1677e24765e2a7c17f87e9d6267b661a8308023b9fdb131d1a0c2bd87802ebf09c850834d57e2095c84efc3af052de4aecc54385883ef09_1280-7661685-1024x683.jpg)
1. 서클 IPO 신청… 뉴욕 증시 상장 추진
출처: CoinDesk (원문 보기)
- 미국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Circle) 이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을 위해 SEC에 S-1 등록 서류를 제출
- 상장이 승인되면 주식은 CRCL이라는 종목 코드로 거래될 예정
- 2024년 말 기준 17억 달러의 준비금 운용 수익은 전체 매출의 99.1%를 차지하며, 스테이블코인 사업의 높은 수익성을 보여줌
- USDC는 현재 공급량 약 600억 달러 규모로, 테더(USDT)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스테이블코인
- JP모건, 씨티그룹, 바클레이즈, 도이치은행 등 글로벌 대형 투자은행들과 협업해 IPO 준비에 박차
- 기업 가치는 최근 투자은행들의 평가에 따라 약 50억 달러(약 6조 7천억 원)로 추산되며, 암호화폐 업계에서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
- 2021년 스팩(SPAC) 상장 시도는 실패했으나,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규제 환경이 우호적으로 전환되며 2024년부터 다시 IPO를 추진
- 리플(Ripple), 크라켄(Kraken), 제미니(Gemini) 등도 IPO 재추진 중
- 서클 IPO는 암호화폐 기업의 제도권 진출을 대표하는 사례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음
전망
-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서클의 IPO는 스테이블코인이 제도권에 편입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작용할 것
- 투자자들에게도 USDC의 성장성과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며, DeFi 플랫폼이나 거래소에서의 사용성이 증가할 전망
- 특히 규제 환경 변화에 따른 상장 추진은 국내 기업들의 암호화폐 산업 진출에도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공함
- 서클 IPO는 2025년 암호화폐 산업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주요 이정표로 평가됨
2. 테더, 1분기 비트코인 8,888개 매수… 총 92,647 BTC 보유
출처: CoinDesk
- 2025년 1분기 동안 비트코인 8,888개를 약 7억 3,500만 달러(한화 약 9,900억 원)에 매입
- 이로써 테더의 총 보유 비트코인은 92,647개에 달하게 되었으며, 이는 장기 수익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자산 다변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됨
- 현재 시세 기준, 보유 비트코인의 가치는 약 78억 달러(10조 5천억 원) 수준
- 테더는 2023년 5월부터 분기 순익의 15%를 비트코인에 재투자하는 전략을 유지 중이며, 이는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간주한 장기 전략의 일환
- USDT는 시가총액 약 1,430억 달러로, 전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 테더는 미국 국채와 현금성 자산 운용을 통해 2024년 한 해에 13억 달러 이상의 순이익을 기록했으며, 그 일부가 BTC로 전환됨
전망:
- 테더의 BTC 매입은 스테이블코인의 준비 자산을 실물 비트코인으로 대체하려는 흐름을 보여주며, 시장 신뢰도 향상에 기여
- 이는 기관 중심의 비트코인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향후 다른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도 유사한 전략을 채택할 가능성이 있음
3. 게임스탑(GameStop), 15억 달러 조달… 비트코인 자산 편입 준비
출처: CoinDesk
- 미국 밈 주식의 대표주자 게임스탑(GameStop) 이 전환사채(Convertible Note) 발행을 통해 총 15억 달러 자금 조달 완료
- 기본 발행액 13억 달러에 더해 2억 달러 규모의 추가 매수 옵션(Greenshoe Option)도 전량 소화
- 수수료와 비용을 제외한 순수입은 약 14억 8천만 달러
- 최근 실적 발표와 함께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편입하기 위한 투자 정책 개정을 이사회에서 승인
- 이는 테슬라, 마이크로스트래티지와 같은 기업의 행보와 유사한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
- 해당 발표 이후 게임스탑 주가는 1.35% 상승, 이는 투자자들이 해당 결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기 때문이며, 장외 시장에서도 추가 상승세를 보임
- 비트코인 매입 시점은 비공개이나, 시장에서는 조만간 대규모 매입이 개시될 것으로 예상
전망:
- 게임스탑의 결정은 전통 산업 기업들이 BTC를 자산으로 받아들이는 추세를 반영하며, 암호화폐의 제도권 자산화 흐름을 강화
- 한국 상장 기업들에게도 비트코인 기반 자산 다변화 전략을 고려하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
4. 종합 정리 | 제도권 편입의 분기점
서클 IPO, 테더의 비트코인 대량 매수, 게임스탑의 자산 편입은 2025년 암호화폐 시장이 본격적인 제도권 편입 국면에 진입했음을 나타내는 결정적인 지표입니다.
투자자들은 이 흐름을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암호화폐 관련 주식이나 디지털 자산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단기 트레이딩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스테이블코인 기반 자산 운용과 비트코인 중심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서클 IPO는 단기 이슈를 넘어서 전통 금융과 암호화폐 간의 구조적 융합을 상징하며, 향후 시장 내 다른 기업들의 IPO 추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플(Ripple), 크라켄(Kraken) 등도 IPO를 준비 중이며, 이와 같은 흐름은 더욱 주목받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한 뉴스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장기적으로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시스템 간의 연결 고리를 강화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 본 포스팅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콘텐츠이며,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독자 여러분께 있습니다. 신중한 분석과 본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현명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